티스토리 뷰
목차
🚀 경기도 미취업 청년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최대 30만 원 지원받는 방법!
1. 경기도 미취업 청년 응시료 지원 사업이란?
경기도는 취업 준비에 필요한 다양한 기회를 청년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최대 30만 원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실 취업 준비를 하다 보면 교재비, 학원비, 교통비 등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특히 시험 응시료는 적지 않은 부담이 됩니다. 토익(TOEIC)이나 토플(TOEFL),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컴퓨터활용능력시험 등은 한 번 응시할 때마다 비용이 꽤 크죠.
이런 부담 때문에 응시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은데, 경기도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총 1,004종의 어학·자격시험 응시료를 청년들에게 직접 지원합니다. 청년 한 명당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되며, 횟수 제한이 없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즉, 여러 번 시험을 응시해도 지원 한도 내에서 계속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또한 이번 지원 사업은 단순히 비용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도전 기회 확대와 공정한 취업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경기도는 지난 사업에서도 큰 호응을 얻었고, 취업 준비생들에게 “경제적 이유로 도전을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이번 2025년 하반기 지원 역시 같은 맥락에서 진행되는 것이죠.
✅ 정리하면?
- 지원 대상: 경기도 거주 미취업 청년 (19~39세, 시군별 차이 있음)
- 지원 내용: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1인당 최대 30만 원 지원
- 시험 종류: 총 1,004종 (어학시험, 국가기술자격, 국가전문자격, 민간자격, 한국사능력시험 등)
- 신청 방법: 잡아바어플라이 누리집에서 온라인 신청https://apply.jobaba.net/special/GGtestfees/main.do#!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 ~ 11월 30일 오후 6시까지
2. 시군별 지원 연령과 응시 가능 시험 종류
경기도 미취업 청년 응시료 지원은 시군별로 연령 기준이 조금씩 다릅니다. 예를 들어 김포시는 만 19세에서 34세까지, 수원·화성·부천 등 대부분의 시는 만 19세에서 39세까지, 포천은 만 49세까지 지원됩니다. 이렇게 지역별로 세부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 기준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 종류는 무려 총 1,004종으로, 거의 대부분의 자격시험을 아우른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예를 들어 어학시험은 토익, 토플, 텝스, 오픽, HSK 등 19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국가기술자격 시험은 540종, 국가전문자격 시험은 347종이 해당됩니다. 여기에 국가공인 민간자격 97종, 한국사능력시험까지 포함되어 있어,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이라면 사실상 필요한 시험 대부분이 지원 대상에 해당됩니다.
어학시험 | 토익, 토플, 텝스, 오픽, HSK 등 | 19종 |
국가기술자격 |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 | 540종 |
국가전문자격 |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 | 347종 |
국가공인 민간자격 | 컴활, 워드, 한국어능력 등 | 97종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국사편찬위원회 주관 | 포함 |
이렇게 보면 사실상 대부분의 취업 준비 필수 시험이 지원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경기도 미취업 청년 응시료 지원은 잡아바어플라이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신청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면 심사 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은 2025년 5월 2일부터 11월 30일 오후 6시까지이며, 사업비가 시군별로 배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원을 원한다면 늦지 않게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중복 지원 불가입니다. 예를 들어 다른 유사 지원 사업을 통해 같은 시험 응시료를 지원받았다면, 이번 사업에서는 중복으로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시험을 보는 경우에는 각 시험별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본인 상황에 맞게 신청하면 됩니다.
또한 시군별로 자체 운영하는 별도 사업이 있는 경우(예: 성남시 ‘올패스’ 프로그램)는 이 사업과 별도로 운영되므로 반드시 확인 후 신청해야 합니다.
📌 신청 시 준비해야 할 서류:
- 신분증 사본
- 주민등록등본 (경기도 거주 확인용)
- 미취업 확인서류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내역 등)
- 응시 시험 관련 영수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