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드디어 성공! KBS 수신료 해지 가장 빠른 방법 총정리
1. 왜 KBS 수신료를 직접 해지해야 할까?
많은 분들이 "TV를 안 쓰는데 왜 수신료가 나오지?" 하고 당황하십니다. 실제로 저희 집도 아이들이 어려서 TV를 아예 구매하지 않았는데, 관리비 고지서에는 떡하니 KBS 수신료 2,500원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알아보니 KBS 수신료는 자동으로 부과되며, 본인이 직접 해지 신청을 해야만 말소가 됩니다. 단순히 TV가 없다고 해서 자동 해지가 되는 게 아니죠.
특히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관리비에 포함된 수신료는 한전(한국전력)에서 해지 불가합니다. 전기료와 관리비가 분리 청구되는 가정만 한전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이라면 KBS 관할 지사에 직접 전화해야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2. KBS 수신료 해지 방법 (실제 후기 + 정리표)
저는 2025년 2월 20일 KBS 홈페이지에서 증빙 사진까지 첨부하며 해지 신청을 했습니다.
하지만 한 달 넘게 “확인 중” 상태만 보이고, 연락은 전혀 없었습니다.
콜센터는 연결조차 어렵고(대기번호 45번…), 홈페이지는 답변이 없으니 정말 답답했죠.
결국 여러 번 시도 끝에 관할 지사 전화 연결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시흥시 거주라 인천지사에 수십 번 전화를 돌리다 운 좋게 연결됐고, 담당자가 재접수해 주셨습니다. 이후 문자 안내를 받아 집안 TV 없는 사진을 전송했고, 다음 날 바로 "4월분부터 수신료 말소 처리 예정"이라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 즉, 홈페이지 접수보다 관할 지사 전화 연결이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 KBS 수신료 해지 방법 비교표
KBS 홈페이지 접수 | 24시간 접수 가능, 사진 첨부 가능 | 답변이 느림, 회원가입 2번 해야 함 | 매우 느림 (한 달 이상 대기 가능) |
KBS 콜센터 (1588-1801) | 공식 채널, 문의 가능 | 대기 번호 많음, 연결 어려움 | 보통 |
한전 콜센터 (123) | 전기료 고지서 분리된 경우 빠름 | 관리비 포함된 경우 불가 | 보통 |
KBS 관할 지사 직접 전화 | 담당자 바로 연결, 빠른 처리 | 전화 연결 어려움 (통화중, 결번 많음) | 가장 빠름 (하루~3일 내 처리) |
3. 해지 진행 시 필요한 준비물 & 주의사항
KBS 수신료 해지를 위해서는 단순히 "TV 없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필수 준비물이 필요하니 미리 챙겨두세요.
- 집안 거실 사진 : TV가 없음을 증명 (문자 전송으로 요구)
- 세대주 명의 정보 : 관리비 고지서 또는 전기료 고지서 기준
- 연락 가능한 휴대폰 번호 : 안내 문자 및 처리 결과 수신용
주의할 점은, 홈페이지 간편가입(NAVER, 카카오 등)으로 로그인하면 해지 신청 글이 등록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저도 몰라서 2번 회원가입을 다시 했습니다. 😓
👉 가장 빠른 루트는 관할 지사 전화 → 문자 안내 → 집안 사진 전송 → 말소 완료입니다.
4. KBS 수신료 해지, 이렇게 하면 더 빠르다!
저처럼 한 달 넘게 답답하게 기다리지 않으려면, 처음부터 다음 순서를 추천합니다.
- 관할 지사 번호 확인 (지역별 KBS 지사 연락처 검색)
- 전화 연결 시도 (결번 제외하고 반복 시도)
- 담당자 연결되면 TV 미보유 사실 설명 + 집안 사진 전송
- 처리 완료 문자 수신 → 관리비 고지서에서 다음 달부터 수신료 말소 확인
💡권역 사업지사 담당 지역 연락처
수도권 | 강북사업지사 | 서울 종로·중·용산·마포 등 | 02-720-8182, 02-781-2582 |
수도권 | 강남사업지사 |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과천 | 02-3474-2700, 02-6099-0330 |
수도권 | 인천사업지사 | 인천, 부천, 시흥, 김포 등 | 032-327-3891 |
수도권 | 경기남부사업지사 | 수원, 안산, 평택 등 | 031-219-8612~4, 031-219-8616 |
수도권 | 경기동부사업지사 | 용인, 성남, 하남 등 | 070-4837-3322~3, 070-4837-3325/26 ( |
수도권 | 경기북부사업지사 | 고양, 의정부, 파주 등 | 031-875-8575 / 031-875-8576 |
강원권 | 춘천방송총국 | 춘천, 홍천, 양구 등 | 033-258-7100 |
충청권 | 대전방송총국 | 대전, 세종, 충남 일부 | 042-470-7114 |
충청권 | 청주방송총국 | 청주, 충북 일부 | 043-717-7114 |
영남권 | 부산방송총국 | 부산, 김해 등 | 051-620-7100 |
영남권 | 대구방송총국 | 대구, 경북 일부 | 053-757-7100 |
영남권 | 울산방송국 | 울산, 양산 등 | 052-270-7100 |
영남권 | 창원방송총국 | 창원, 거제, 통영 등 | 055-280-7100 |
영남권 | 포항방송국 | 포항, 영덕, 울릉 등 | 054-280-7100 |
호남권 | 광주방송총국 | 광주, 전남 일부 | 062-610-7100 |
호남권 | 전주방송총국 | 전북 전주, 익산 등 | 063-220-7114 |
호남권 | 목포방송국 | 목포, 해남, 신안 등 | 061-270-7114 |
호남권 | 여수방송국 | 여수, 순천, 광양 등 | 061-650-7114 |
5. 결론: 2,500원이지만 반드시 해지하세요
매달 2,500원은 작은 금액처럼 보이지만, 1년이면 3만 원이 넘습니다. TV도 없는데 괜히 내는 건 억울하죠. 저처럼 홈페이지에서 몇 주씩 기다리지 말고, 지사 전화 연결로 빠르게 처리하는 걸 강력 추천드립니다.
저는 이번에 직접 겪으며, "KBS 수신료 해지는 전화가 답이다"라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이 글이 저처럼 고민하는 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